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레이저 헤드:데이비드 린치

by 연0916 2024. 7. 18.

이레이저 헤

1970년대 컬트 영화의 대명사

1970년대의 가장 흥미진진한 영화 현상은 컬트 영화의 등장이다. 심야극장의 영화광들은 <럭키 호로 픽처 쇼>를 계기로 해서 컬트 영화 신드롬을 만들어 냈으며, 세상에서 가장 기괴하고 이상한 영화들을 차례로 뒤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1978년에 드디어 자기 세대의 컬트 영화감독을 만나게 되는데, 그가 바로 데이비드 린치였다.

미술을 공부하고 애니메이터로 일하던 데이비드 린치는 자신의 경험을 최대한 살려서 장편영화인 데뷔작 <이레이져 헤드>를  찍었고, 그 결과 초현실주의 회화와 실험영화가 결합한 악몽 그 자체의 영화가 탄생하게 되었다.

 단숨에 컬트 영화의 명단에 올라간 이 영화는 꿈과 현실, 천국과 지옥이 모두 끔찍하게 뒤틀린 세상의 풍경을 보여준다. 방전된 것처럼 머리털이 곤두선 헨리는 움직이는 닭요리를 먹고, 운행에 문제가 있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해초 더미가 자라나는 방에 산다.

헨리는 강경증에 걸린 여자 메리(그의 할머니는 살아 있는 시체같고, 아버지는 한쪽 팔이 마비되어 있다.)와 결혼하여 기형아를 키우게 된다. 매리의 주변에는 두 개의 세계가 있다. 하나는 온몸에 화상을 입고 창 밖을 바라보는 남자의 세계인데. 그는  헨리에게서 정충처럼 보이는 것을 빼내어 기형아를 만들어 낸다. 다른 하나는 라디에이터 속에 살고 있는 소녀의 세계이다."천국에서는 모든 일이 잘 된다."고 노래하는 소녀는 춤을 추면서 정충처럼 보이는 것을 발로 밟아 터뜨려버린다.

라디에이터를 바라보며 마음의 안식을 얻던 헨리는 아내가 버린 기형아를 가위로 찔러 죽이고, 그 세계로 들어가서 소녀의 품에 안긴다.

이 모든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매리라는 이름을 성모 마리아로 생각하고, 기형아의 모습에서 털을 벗겨낸 어린 양을 떠올린다면 (매리의 어머니가 헨리에게 매리와 성관계가 있었느냐고 추궁할 때, 그는 끝내 대답하지 않는다), 화상을 입은 남자는 신으로 해석된다. 그는 원자폭탄과 공해에 찌들어 기형아를 만들어내고, 낙태로 무수한 생명을 희생시키는 세상의 신으로서 침묵으로 일관한다. 폐허 같은 건물들과 썩은 물이 고여 있는 거리, 끊임없이 들려오는 소음은 또한 산업사회의 악몽이다. (헨리의 직업은 인쇄공이다)

헨리의 가족은 오이디푸스 가족 내부의 콤플렉스를 드러낸다. 끊임없이 울어대며 부모에게 쉴 틈을 주지 않는  아이는 가정의 행복이 언제라도 불행의 씨앗으로 바뀔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매리는 헨리의 손길을 피하고, 헨리는 매리의 배에서 탯줄 같은 것을 꺼내 벽에 던진다. 그들의 절망적인 몸짓에는 성관계의 공포와 아버지가 되는 두려움이 배어있다. 그러나 무수한 퍼즐 조각으로 가득 찬 수수께끼 같은 영화는 이 모든 해석을 무색하게 만든다.

데이비드 린치는 <엘리펀트 맨>과 <블루 벨벳>으로 아카데미 영화제의 감독상 후보에 지명되었고, 곧장 제도권으로 진입했다. 그는 텔레비전 시리즈 <트윈픽스>를 제작하면서 컬트 영화의 감수성을 일반 대중에게 확산시켰으며, 칸 영화제의 황금종려상을 받은 <광란의 사랑>으로 그것이 포스트 모던 시대의 작가주의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이레이저 헤드>에서 <광란의 사랑>까지, 데이비드 린치가 걸어간 길은 또한 컬트영화 신드롬의 운명이 되었다.